Sad Puppy 3 [프로그래머스 lv1]실패율 :: 개발자 아지트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설명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것이 문제였다.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 매개변수로 주어질 ,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스테이지의 개수 N 1 이상 500 이하의 자연수이다.

stages 길이는 1 이상 200,000 이하이다.

stages에는 1 이상 N + 1 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

, N + 1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사용자를 나타낸다.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 으로 정의한다.

 

입출력 

 

N                 stages        result

5                  [2, 1, 2, 6, 2, 4, 3, 3]           [3,4,2,1,5]

4                  [4,4,4,4,4]                    [4,1,2,3]

 

입출력  설명

 

입출력  #1

 

1 스테이지에는  8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1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1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1  스테이지 실패율 : 1/8

2 스테이지에는  7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3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2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2  스테이지 실패율 : 3/7

마찬가지로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3  스테이지 실패율 : 2/4

4 스테이지 실패율 : 1/2

5 스테이지 실패율 : 0/1

 스테이지의 번호를 실패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다.

[3,4,2,1,5]

 

입출력  #2

 

모든 사용자가 마지막 스테이지에 있으므로 4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1이며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이다.

[4,1,2,3]

문제 해결 방법

 

처음에는 for문 안에서 for문이 돌때 마다 도전한 사용자와 클리어하지 못한 사용자를 체크했었다. 

이 부분에서 5, 9, 22번 테스트케이스에서 계속 시간초과가 났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테이지별로 도전하는 사용자의 수를 따로 체크하고, 실패한 사용자를 따로 체크해야했다. 


코드 구현

통과한 코드 

def solution(N, stages):
    answer = []
    # 도전 
    # 스테이지 별 도전자 수를 구함 
    challenger = [0] * (N+2)
    for stage in stages:
        challenger[stage] += 1
    
    fails = { }
    total = len(stages)
    
    for i in range(1, N+1):
        if challenger[i]==0:
            fails[i] = 0
        else:
            fails[i] = challenger[i] / total
            total=total-challenger[i]
            
    #print(fails)
    
    result = sorted(fails, key=lambda x: fails[x], reverse=True)
    #값을 기준으로 키를 정렬해서 반환함 
    
    #print(result)
    
    return result​

 

이 부분에서 5, 9, 22번 테스트케이스에서 계속 시간초과가 났던 코드 

def solution(N, stages):
    #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
    
    
    #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answer = []
    
    start = 1
    over_count = 0
    target_count = 0
    
    my_answer = { }
    
    while(1):
        if start > N:
            break
        
        for i in range(len(stages)):
            if stages[i] == start: # 스테이지를 진행중인 사람 
                target_count += 1
                over_count += 1 
            elif stages[i] > start: # 스테이지를 클리어 한 사람 
                over_count += 1
            
        if target_count == 0:
            my_answer[start] = 0
        else:
            my_answer[start] = target_count / over_count    
        #print(target_count, "/", over_count)
        
        #print(my_answer)
        
        over_count = 0
        target_count = 0
        start += 1
    
    result = sorted(my_answer, key=lambda x : my_answer[x], reverse=True)
    return result

 

시간/공간 복잡도

문제에서 200,000의 입력이 주어지므로써 이를 무난하게 통과하기 위해서는 NlogN의 시간복잡도가 나오는 알고리즘을 짜야 했다. 

 

 

최적화 및 개선

개선을 위해서 코드짤 때 관점과 구현 방법을 바꿔야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stages 배열을 를 구성하는 사용자들에 대해서 start 변수를 통해 순차적으로 스테이지를 증가시키고 stages 요소들을 돌면서 이를 넘겼느냐를 체크했다.

 

스테이지의 개수를 기준으로 도전하는 사용자와 실패한 사용자를  각각 반복문을 통해 메기면 굳이 이중 반복문을 사용하지 않아도됐다. 


어려웠던 점

한번 코드를 작성하려고 생각한 구현 관점을 수정하기가 어려웠다. 

이런 부분은 시간이 엄청 오래걸린다. 

 

그리고 확실히 시간복잡도를 미리 고려하고 코드의 효율성을 잘 확인하고 구현할 생각을 해야할 것 같다.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겠다는 생각과 구현을 어떻게 해야하겠다는 생각은 다른 생각이고, 구현에 대한 생각을 굳이 하지 않았는데, 앞으로 문제 통과를 위해서 제대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