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형식화된 데이터 덩어리
→ 예를들자면, 이미지 한장 데이터(파일 또는 데이터)를 잘게 패킷 단위로 쪼개서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대 컴퓨터로 주고 받고 함
→ 왜 잘게 쪼개는가?
- 컴퓨터 대 컴퓨터로 통하는데는 여러 길이 있음
- 하나의 길을 전체 데이터 단위가 차지할 경우
- 그 길이 큰 데이터를 못버틸 수 있음 = 길마다 수용 가능 범위가 있음 → 길이 통제됨
- 장애가 한번 나면 끝장임
- 다른 컴퓨터랑도 통신해야하는 길인데 독점하게 됨
- 잘게 쪼갠 후 보내면 받는 쪽에서는 각각의 순서를 체크하여 재 조립함
- 만약 일부 데이터가 누락되면 그 데이터만 다시 요청함
⇒ 빠르고 안전하기 때문임
패킷의 구성요소: 헤더, 페이로드
- 헤더에는 패킷의 출처, 용도, 처리 방법이 적혀있음(원본 및 대상 IP주소)
- 페이로드는 실제 데이터임 (쪼개진)
라우터란?
둘 이상의 패킷 교환 네트워크(인터넷)나 서브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네트워크 하드웨어)임.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달함)
패킷이 인터넷을 이동하다가 길이 막히면 다른 경로로 안내해줌
⇒ 인터넷 길목마다 서 있는 ‘교통 경찰관’ 같은 역할을 함
⇒ 패킷이 어느 길로 가야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갈 수 있을지 매번 판단해줌
⇒ IP주소를 참고함
라우터의 기능
- 데이터 패킷을 의도한 IP 주소로 전달해서 네트워크 간의 트래픽을 관리함.
- 여러 장치가 동일한 인터넷 연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
라우터에도 여러 유형이 있음.
그러나, 대부분의 라우터는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네트워크(WAN) 간에 데이터를 전달함.
*LAN: 특정 지리적 영역으로 제한된, 연결된 장치 그룹임. 일반적으로 단일 라우터가 필요.
*WAN: 넓은 지리적 영역에 분산된 대규모 네트워크.
ex) 전국의 여러 위치에서 운영되는 대규모 조직 및 회사는 각 위치에 대해 별도의 LAN이 필요함.
이 LAN은 다른 LAN과 연결되어 WAN을 형성함
WAN은 넓은 영역에 분산되어 있으므로, 여러 라우터와 스위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음
라우터의 작동 방식
: 라우터는 내부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해 네트워크 경로를 따라 패킷을 라우팅 하는 방법을 결정함
과정
- 라우터가 패킷 수신
- 패킷의 헤더를 읽어 목적지를 확인
-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기반으로 패킷을 라우팅할 위치를 결정
라우팅 테이블의 종류
- 정적
- 변경되지 않음.
-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동으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해야함
- 동적
- 자동으로 업데이트됨
-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해 최단 경로와 가장 빠른 경로를 판단하여 결정함
- 지도에 최상의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기반으로 자동 업데이트함
- 많은 컴퓨팅 성능이 필요함
-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정적 라우팅에 의존하는 이유임
- 중간, 대규모 네트워크는 동적 라우팅이 훨씬 효율적
주요 라우팅 프로토콜
:IP, BGP 등..
라우팅이란?
네트워크 라우팅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임
⇒ 인터넷 경로 결정은 라우터라는 특수한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통해 이루어짐
ex) A에서 B로 전달될 때, 라우터가 1-3-5, 2-4 경로 중에 어디로 가는게 빠른지 판단하여 경로를 결정해 주는것임.
스위치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 그룹 간(LAN:근거리 통신망)에 데이터 패킷을 전달함
MAC 주소를 참고하여 딱 해당되는 포트로만 보냄
허브처럼 브로드캐스팅 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