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연산 단위 혹은 논리적인 업무단위
ex) 강태우(A계좌)가 김영희(B계좌)에게 1,000,000원을 송금하려고 한다. 어떤 일련 과정을 거쳐 송금 업무가 이뤄지는지 생각해보자.
ex) 누군가 요구사항을 이렇게 작성함
: 저희 쇼핑몰은 고객이 주문을 하면 주문 정보를 저장합니다. 하나의 주문정보에는 여러 상품이 있어서 주문상세정보로 저장을 합니다.
식별관계 vs 비식별관계
식별자관계: 외래키(빌려온 키)가 PK(식별자)의 일부분인가?
비식별자관계: 외래키(빌려온 키)가 PK(식별자)의 일부분이 아닌가?
'DB > SQL 개발자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과목] 데이터 모델과 SQL - 05. 본질식별자 vs 인조식별자 (0) | 2024.07.27 |
---|---|
[1과목] 데이터 모델과 SQL - 04. NULL 속성의 이해 (0) | 2024.07.27 |
[1과목] 데이터 모델과 SQL - 02. 관계와 조인의 이해 (2) | 2024.07.27 |
[1과목] 데이터 모델과 SQL - 01. 정규화 (0) | 2024.07.27 |
시험개요 (1) | 2024.07.23 |